로고

안동포정보화마을!
로그인 회원가입
  • 게시판
  • 공지사항
  • 게시판

    수백 번 손길로 탄생한 안동포 千年의 혼이 담기다.

    공지사항

    ‘앙드레 부통’ 신부의 벽화, 50년 만에 세상과 만나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20회   작성일Date 25-01-12 18:51

    본문

    570e5c34e08e356f5bb96a2ebc9c80f6_1736675430_9227.jpg
     


    1 8() 안동시 도시재생지원센터( 안동예식장, 태사길 37)에서 특별한 광경이 펼쳐졌다. 안동시는 반세기 동안 예식장  속에 봉인 있던 벽화  점을 세상에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공개된 벽화는 1960년대 중반부터 70년대 중반까지 10 년간 안동교구를 중심으로 전국의 성당이나 공소에 성화를 그려 선교활동을 펼쳐  프랑스 베네딕도회 앙드레 부통 신부(Andre BoutonE1914~1980) 작품이다.

    부통 신부는 주로 성화를 중심으로 성당과 공소에 벽화를 그렸으나, 이번에 공개될 벽화는 한국 전통혼례의 모습이 담긴 민속화의 성격이 강하다. 성당과 공소가 아닌 예식장에 벽화가 그려진 점과, 당시  안동예식장을 운영했던 류한상  안동문화원장이 예식장에 벽화그림을 선물로 받게  과정이 녹취록으로 남아있는 , 주로 그렸던 선교 목적의 성화가 아닌 민속화를 그린 점은 희소성이 높아 뛰어난 예술성에  가치를 더한다.


    570e5c34e08e356f5bb96a2ebc9c80f6_1736675450_8245.jpg
     

    1973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벽화는 올해 착공되는 안동시 도시재생지원센터 리모델링 공사로 영원히 묻힐 뻔했으나, 예식장  속에 보물이 있다는 이야기를 전해 들은 도시재생지원센터가 2023 11 벽의 작은 구멍을 통해 내시경 확인 작업  동영상 촬영으로  존재를 확인했다. 이후 발굴  보존 작업에 착수했으며 이번에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는 극적인 순간을 맞이하게  것이다.

    안동시는 본격적인 학술연구를 통해 해당 벽화의 예술적 가치와 부통 신부의 안동교구에서의 행적 등을 전방위적으로 연구해, 보존과 활용 등에 대한 후속 조치와 함께 경상북도 등록문화유산 추진도 병행, 벽화 보존의 당위성과 가치를 홍보할 계획이다.


    안동시와 안동시도시재생지원센터는 벽화 개방  보존, 활용을 위해 미술계․종교계․문화계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추진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벽화를 활용한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안동시 도시재생지원센터 관계자는 “부통 신부의  안동예식장 벽화는 희소성과 예술성을 겸비한 작품”이라며 “벽화를 활용해 양질의 콘텐츠를 개발한다면 구도심 재생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부통 신부는 예루살렘 등의 중동지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