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안동포정보화마을!
로그인 회원가입
  • 안동포마을
  • 마을소개
  • 안동포마을

    수백 번 손길로 탄생한 안동포 千年의 혼이 담기다.

    마을소개

    안동포정보화마을은 금소1리, 금소2리 두 마을이 모여 정보화마을로 지정되었습니다.

    달그락 찰칵! 째그락 딸깍!
    사계절 베틀 소리가 사라지지 않는 안동포마을

    앞으로는 길안천 맑은 물이 흐릅니다. 나지막한 산이 등 뒤에서 마을을 포근하게 감싸안습니다.

    안동포마을은 배산임수라는 전형적인 한국의 농촌 마을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습니다.

    안동시에서 남동쪽으로 14㎞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 안동포마을은 예천임씨, 울진임씨등이 집성촌을 이루고 있으며
    마을곳곳에 유물유적과 문집 등 전통문화가 많이 남아있습니다.

    지역특산물로는 안동포, 청정 사과, 수박, 시설채소 등이 있으며 옛날 임금님의 진상품으로 올려지기도 했던 안동포가 특히 유명합니다.

    일찍부터 안동포짜기는 경상북도로부터 지방무형문화재 제1호로 인정받기도 했답니다.

    안동포로 유명한 마을답게 일년내내 베 짜는 소리가 끊이지 않고 들립니다.

    • 삼국시대에는 고구려(高句麗)의 굴화군(屈火郡)
    • 신라 경덕왕 때 곡성군(曲城郡)으로 고침
    • 고려 초 지금의 월곡과 임동지역을 포함해서 임하현(臨河縣)
    • 구한말 광무 10년(1906년)에 임하현을 폐하고 안동군에붙여 임현내·임남·임동·임북·임서면으로 개편
    • 1914년 임하·임북·동후·임동면으로 개편
    • 1974년 7월1일 안동호(安東湖)가 건설되면서 현하리는 길안면으로 망천리는 임동면으로,
      월곡면 노산 석동리는 임하면으로 편입.
    • 1983년 2월15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송천 석동리가 안동시로 편입.
    • 1993년 1월15일 임하댐이 준공되면서 사의리가 임하리, 임동면 박곡리로 각각 편입.
    • 1995년 1월1일 도.농 통합형 안동시 발족으로 안동시 임하면 으로 개편

    임하면 현황

    법정리 행정리 자연마을 총면적 임야 과수 기타
    8 13 73 30 91.7㎢ 64.3㎢ 5.4㎢ 5.1㎢ 2.3㎢ 14.6㎢

    * 표를 좌우로 스크롤해주세요!

    보물 민속자료 지방문화 무형문화재 유형문화재
    22 3 6 8 1 4

    * 표를 좌우로 스크롤해주세요!

    우리 마을은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전형적인 농촌마을입니다.

    금소 1, 2리에서는 안동포 생산과 벼, 사과, 콩, 깨, 호박, 수박, 양파, 생강, 고추 등의 농사를 짓습니다.

    길안천 맑은 물과 땀 흘려 농사짓는 마을 사람들의 정성 때문인지 우리 마을에서 생산되는 수박이나 호박은 인기가 무척이나 좋답니다.

    웃음과 희망이 넘치는 고향을 만들어가겠습니다.
    여름에 한번 놀러오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