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6,900 억원 날려버린 노후상수도 , 싱크홀 유발하는 노후하수도
페이지 정보

본문
상수도의 노후화로 연간 6.7 억톤의 물이 누수되었고 , 이에 따른 손실 누수액이 약 6,900 억원 가량인 것으로 들어났다 .
8 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민의힘 간사 김형동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22 년 기준 * 전국 상 ‧ 하수도 통계에 따르면 , 20 년 이상 오래된 전국 상수도의 노후화율은 36.4%, 전국 하수도의 노후화율은 43.0% 인 것으로 나타났다 .
(*23 년도 통계는 24 년 12 월 공표 예정으로 , 22 년도 통계가 가장 최근 통계임 )
광역 ‧ 지자체별로 살펴봤을 때 , 상수도의 경우 서울특별시의 상수도 노후화율이 66.1% 로 가장 높았고 , 하수도는 대구광역시의 하수도 노후화율이 74.0% 로 가장 높았다 .
통상 상수도가 노후화될 경우 누수가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되고 , 그에 따라 유수율이 낮아져 불필요한 수돗물 생산이 늘어나게 된다 . 이에 22 년 연간 누수액은 6.7 억톤으로 , 6,900 억원 가량의 수자원을 낭비했다 .
행정구역별로 상수도 누수율을 비교했을 때 , △ 특 ‧ 광역시 평균 누수율은 3.3% △ 특별자치시 9.2% △ 시 11.5% △ 군 22.5% 로 , 규모가 작은 시 ‧ 군 단위로 갈수록 물 공급의 비효율성이 크고 , 지방 재정이 열악한 만큼 상수도 관리에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
반면 , 하수도가 노후화될 경우에는 관로가 막혀 역류 등의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 오래된 하수관로의 균열로 인해 누수 및 침수가 발생하여 지반침하 ( 싱크홀 ) 를 유발하게 된다 . 최근 서울 및 대구에서 연달아 발생한 싱크홀도 노후화된 하수관의 손상이 원인이었다 .
올해 사고원인별 싱크홀 비율을 살펴봐도 , △ 하수관 손상 43.9% △ 다짐 불량 20.5% △ 상수관 손상 14.7% △ 굴착공사 부실 12.2% 순으로 높았다 .
지반침하가 발생하게 되면 도로 , 전력선 , 가스관 등 도시 기반시설이 파손되고 , 이를 복구하기 위해 소용되는 교통 통제 등 경제적 손실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 국민들의 불안과 불편을 초래하는 등 사회적 비용도 발생하게 된다 .
특히 ,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하수도의 노후화에 선제적인 대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잇달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
- 이전글임하면 ‘왔니껴 안동 오일장’ 홍보 판매 24.10.24
- 다음글소나무재선충병 수종전환 지역사회 사업설명회 개최 24.10.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