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위예측 사각지대 ‘ 지방하천 ’, 수위관측소 여전히 부족
페이지 정보

본문
홍수 조기예보를 위한 수위관측소가 국가하천에 집중되어있는 반면 , 지방하천에는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
14 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민의힘 간사 김형동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 국가하천 73 곳 중 수위관측소는 310 개가 설치되어있는 반면 , 지방하천 3,767 곳 중 수위관측소는 363 개로 , 지방하천에 수위관측소 설치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
수위관측소는 강수량 관측소와 함께 전국 주요 하천에 설치되어 홍수를 조기에 예보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지난해 12 월말 기준 , 국가하천 및 지방하천의 수위관측소 설치 현황을 살펴보면 , 국가하천은 73 곳 중 310 개의 수위관측소가 설치되어있는 반면 , 지방하천은 3,767 곳 중 363 개 수위관측소만 설치되어 운영 중이다 .
하천의 길이를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 국가하천은 100km 마다 수위관측소가 평균적으로 8.6 개가 설치되어 있는데 반해 , 지방하천은 국가하천의 6 분의 1 수준인 1.4 개에 불과하다 .
그동안 하천 규모가 큰 국가하천을 우선으로 수위관측소를 설치하고 홍수예보 시스템을 구축해왔던 탓에 , 지방하천의 수위관측소 설치율이 낮은 것이다 .
하지만 최근 기후위기로 예상을 뛰어넘는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크게 늘고 있어 , 지방하천도 홍수피해에 안심할 수 없다는 게 김 의원의 지적이다 .
올해 5 월 환경부는 지난해까지 전국적으로 12 곳에 불과했던 지방하천 홍수특보지점을 130 곳으로 확대했으며 , 홍수예보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
이에 김 의원은 “ 수위관측소는 홍수 발생을 조기에 예측함으로써 홍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는데 중요한 부분 ” 이라며 “ 홍수특보지점 확대와 동시에 지방하천의 수위관측소 설치를 확대하여 홍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 국민의 안전 확보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 고 강조했다 .
- 이전글장애인들의 소득 보장과 일자리 창출 명커피 오픈 24.10.30
- 다음글안동시 장애인평생교육 강사 양성과정 교육 개강 24.10.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