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안동포정보화마을!
로그인 회원가입
  • 게시판
  • 고향소식
  • 게시판

    수백 번 손길로 탄생한 안동포 千年의 혼이 담기다.

    고향소식

    홍익대학교에서 안동포마을 방문 (2014-04-10 16:03:05 기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김점선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46회   작성일Date 23-11-23 00:00

    본문

     

      

    2014년 3월 29일 따뜻한 봄날 홍익대학교에  유학온 외국인 학생들이 교수님들과 함께 안동포마을을 다녀갔습니다.

     

    홍익대학교에서는 매년 봄이면 안동을 1박2일 일정으로 다녀가며 항상 안동포마을을 방문하여

     

    숙박과 체험을 합니다. 학생들은 유럽과 아시아 이란 아메리카 등 여러각국의 학생들이 함께 있어서

     

    영어로 통역을 하면서 체험을 하였습니다. 학생들에게 안동은 hemp를 가지고 안동포라는 원단을

     

    만들었고 전통 한옥을 지을때에도 쓰였다는 것을 설명하였으며  

     

    미국은 hemp로 청바지를 최초로 만들었고 특히 배에 쓰이는 밧줄을 많이 만들었다는 얘기와 함께

     

    서로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서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자리였습니다.

     

    안동은 유교적인 문화가 살아 숨쉬고 있고 또한 외국인의 눈으로 보았을때 가장 한국적인 모습을

     

    보고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매년 안동을 찾아 오는것  같습니다.

     

     

     

     

    13971133850086806.jpg

    아침부터 비가 내려서 비닐하우스 안에서 삼벗기기와 삼훑기 체험을 하였습니다.

     


    13971133850238102.jpg

    기능보유자 우복인선생님의 설명을 들으면서 체험을 하였습니다.

     


    13971133850383574.jpg

    처음해보는 체험이지만 재미있게 하였습니다.

     


    13971133850514419.jpg

    한명한명한테 상세하게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13971133850632064.jpg

    삼훑기하는 과정입니다.

     


    13971133850760608.jpg

    삼삼기하는 과정을 배우는 중입니다.

     


    13971133850888035.jpg

    안동버버리찰떡을 만들었습니다.

     


    13971133850998180.jpg

    오물조물 두손을 사용하여 맛있게 떡을 만들었습니다.

     


    13971133851096811.jpg

     

     


    13971133851216149.jpg

    떡체험이 많은 사람들에게 늘 인기가 좋습니다.

     


    13971133851339252.jpg

    어르신들께서 설명을 해주셔서 더욱 만들기가 쉽습니다.

     


    13971133851445520.jpg

     

     


    13971133851567158.jpg

    안동버버리찰떡입니다.

     


    13971133851666469.jpg

     

     


    13971133851787310.jpg

     

     

    학생들은 이렇게 어르신들과 기념촬영을 하였습니다.

     


    13971133851877501.jpg

     

     

     

     

    13984955446596140.jpg

    돌담에서 ....

     


    13984955446942785.jpg

    모두다 멋있는 포즈를...

     


    13984955447075706.jp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